각 검색항목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 붙어있는 항목은 미입력인 경우가 많은 점, 이해 바랍니다.)
각 목간 상세화면에 부여되는 고정된 URL입니다. 이 URL로 해당 페이지를 직접 표시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에 게재되어 목간번호가 붙어있는 목간에 대해서만 표시합니다. 목간번호가 없는 것은 '0'으로 하였습니다.
한자의 표기는 원칙적으로 일본에서 현재 상용되는 상용자체(常用字体)로 표기하였으나, '龍', '廣', '寶', '嶋', '籠' 등은 이대로 사용하였습니다.
석문에 사용된 기호는 이하와 같습니다.
본문 기호 설명.
\
|
줄바꾸기를 가리킴.
|
/
|
할서의 시작을 가리킴.
|
//
|
할서에 대한 할서(이중 할서)의 시작을 가리킴.
|
∥
|
할서나 할서에 대한 할서(이중 할서)의 끝을 가리킴.
|
・
|
목간의 앞뒤면에 문자가 있는 경우, 그 구별을 나타냄.
|
□
|
결손된 문자 중에 글자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냄.
|
《 》
|
결손된 문자 중에 글자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냄.
《○○》와 같이 ○로 대략적인 길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
|
〈 〉
|
결손된 문자 중에 글자수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을 나타냄.
〈○○〉와 같이 ○로 대략적인 길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
|
←、→
|
기록된 내용으로 보았을 때, 위 또는 아래에 적어도 1자 이상의 문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를 나타냄.
← ――와 같이 ―으로 대략적인 길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
|
…
|
목간의 중앙이 결손되어 직접 연결되지 않음을 나타냄.
|
〇
|
문자가 쓰여져 있지 않은 부분을 나타내나, 생략된 경우도 있음.
|
■
|
먹을 덧칠하여 지워버려 판독이 어려운 것.
|
【 】
|
위아래가 뒤바뀜.
|
{ }
|
목간의 나뭇결과 직각 방향으로 쓰여진 문자를 나타냄.
|
*A[×B]
|
문자 B의 위에 문자 A를 겹쳐써서 정정(訂正)함을 나타냄.
|
~
|
먹을 덧칠하여 지운 자획이 분명한 것을 나타냄. 먹을 덧칠하여 지운 자획의 뒤에 붙임.
|
「 」
|
가필(加筆)을 나타냄.
|
『 』
|
「」 과 또 다른 가필(加筆)을 나타냄.
|
( )
|
교정, 설명을 한 주석.
|
〔 〕
|
교정에 관한 주석 중에 본문에 대체해야 할 문자를 포함하는 것.
|
カ
|
엮은 이가 더한 주석으로 의문점이 있는 것.
|
§
|
체크했음을 나타냄.
|
|
|
각선(刻線)을 나타냄.
|
※
|
묵선(墨線)을 나타냄.
|
◎
|
동그라미 또는 이중 동그라미를 나타냄.
|
▲
|
삼각의 기호를 나타냄.
|
◇
|
천공(穿孔)을 나타냄.
|
γ
|
부적(주술용부적에 쓰여진 범자(梵字)), 그림이 아닌 기호)를 나타냄.
|
β
|
범자(梵字)를 나타냄.
|
ε
|
그림을 나타냄.
|
δ
|
옥호(屋號, 가문의 호칭(문장(紋章))), 수결(手決)을 나타냄.
|
θ
|
낙인(烙印).
|
〓
|
JIS코드에 없는 특수한 문자를 나타냄.
|
●
|
문자수를 대응시키기 위한 것으로 의미는 없음.
|
"길이", "너비", "두께"(단위:밀리미터)의 3항목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길이"는 목간이 기록된 문자의 방향을 기준으로 합니다. 길이에 관한 표현("長辺"(장변) 등)뿐만아니라 높이에 괂한 표현("器高"(기고) 등)도 포함됩니다.
"너비"에는 폭에 관한 여러가지 표현("幅"자가 포함된 것, "径"자가 포함된 것, "外寸"(외부치수)・"内寸"(내부치수))이 포함됩니다.
"두께"에는 "奥行"(안길이)도 포함됩니다.
1점의 목간이 복수의 단편으로 갈라져 있을 경우, 각 단편의 치수를 항목별로 나누어 ";"로 연결시켜 표시합니다 (ab 등으로 각 부분에 명칭을 단 경우가 있습니다).
결손이나 2차적인 성형에 의해 원형과 달라진 경우에는 숫자에 ( )를 붙였습니다. 단, 『木簡研究(목간연구)』에는 2차적인 성형의 경우, ( )를 붙이지 않습니다.
『木簡研究』에 게재된 데이터를 그대로 수록하고 있으므로, 『木簡研究』에 수록된 목간의 크기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목간 부스러기는 크기를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목간의 현재 형태를 나타내는 번호입니다. 나라문화재연구소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형식번호는 이하의 18종입니다. '단(端)'은 목간을 나뭇결 방향으로 놓았을 경우, 위아래 양끝을 말합니다.
조사기관에 따라 독자적인 형식번호를 채용한 경우가 있으므로, 각 보고서 등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시대를 나타내는 숫자가 형식번호의 가장 앞에 붙는 데이터의 경우도 있습니다.
5 아스카(飛鳥)시대
6 나라(奈良)시대
7 헤이안(平安)시대
형식번호 설명(도면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011형식
|
장방형 목재로 된 것.
|
015형식
|
장방형 목재의 측면에 구멍을 뚫은 것.
|
019형식
|
일단은 방형(方形)이고 다른 쪽은 파손, 부식으로 인해 원형을 잃은 것.
|
021형식
|
작은 구형(矩形)으로 된 것.
|
022형식
|
작은 구형(矩形)으로 된 목재의 일단을 규두(圭頭)로 다듬은 것.
|
031형식
|
장방형 목재의 양단 좌우에 홈을 판 것.
|
032형식
|
장방형 목재의 일단 좌우에 홈을 판 것.
|
033형식
|
장방형 목재의 일단 좌우에 홈을 파고, 다른 쪽은 뾰족하게 깎은 것.
|
039형식
|
장방형 목재의 일단 좌우에 홈을 파 넣었으나 다른 쪽은 파손, 부식되어 원형을 잃은 것.
|
041형식
|
장방형 목재의 좌우를 각진 주걱 모양처럼 한쪽은 넓적하게, 다른 쪽은 길쭉하게 깎아만든 것.
|
043형식
|
장방형 목재의 일단 좌우를 각진 주걱 손잡이 모양으로 길쭊하게 깎고, 다른 쪽은 좌우에 홈을 파 넣은 것.
|
049형식
|
장방형 목재의 일단 좌우를 각진 주걱 손잡이 모양으로 깎았으나, 다른 쪽은 파손, 부식되어 원형을 잃은 것.
|
051형식
|
장방형 목재의 한쪽 끝을 뾰족하게 깎은 것.
|
059형식
|
장방형 목재의 한쪽 끝을 뾰족하게 깎았으나, 다른 쪽 끝은 파손, 부식 등으로 원형을 잃은 것.
|
061형식
|
용도가 분명한 목제품에 묵서가 있는 것.
|
065형식
|
용도가 불분명한 목제품에 묵서가 있는 것.
|
081형식
|
파손, 절단, 부식, 그 외의 원인으로 원형을 알 수 없는 것.
|
091형식
|
목간 부스러기
|
목간의 석문이 실린 출전을 나타냅니다. 개보(槪報, 약보고서)가 간행된 후 목간에 관한 정식보고서(도록)가 출판된 경우, 데이터는 정식보고서를 따르고, 개보의 데이터는 삭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출전을 병기하였습니다.
단, 개보의 데이터와 정식보고서의 데이터가 별개로 수록되어 중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개보 또는 정식보고서(도록)에 보고된 목간이며, 『木簡研究(목간연구)』에도 수록된 것은 원칙적으로 출전을 병기하였습니다.
목간 전문 보고서(도록)이외, 각각의 보고서 유물 항목에 기재된 목간은 원칙적으로 『木簡研究』에 기재되는 것을 기다려 수록하고, 각각의 보고서는 출전으로 싣지 않았으므로, 『木簡研究』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여러 개의 석문이 발표되었을 경우에는 되도록 최신의 석문을 수록하고자 하였으나, 미입력된 경우가 있거나 또는 동일한 목간이 별개의 데이터로 중복 수록된 경우도 있으므로 출전 또는 각 조사기관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이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어 있는 목간의 출전과 약호(略號)는 다음과 같습니다.(죄송합니다만, 일본어로만 표기되어 있습니다.)
출전 일람표는 이쪽으로 >>>
본문 문자에 관하여 활자로서 표현할 수 없는 문자나 기호에 대하여 설명한 것입니다.
특히, UTF-8 문자코드로 나타낼 수 없는 문자에 대해서는 "〓"로 표시하고 있습니다만, 그 문자를 해자형식 (예:본문 "〓"는 "沈"자 아래에 "皿"를 쓰는 자형)으로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글자 자형이나 필치에 대해서도 보고서 등에 주기가 있을 경우 적기하였습니다.
목간의 결락부분 등에 대한 설명입니다. 그 외에, 일부 목간의 용도를 표기한 경우도 있습니다.
목간에 사용된 나무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생물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수종이 동일한 경우에는 끝에 '△'를 붙여 두었습니다.
목간이 출토된 유적의 조사를 담당한 기관 등을 나타냅니다.
목간이 출토된 발굴조사 차수입니다. 각 출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목간이 출토된 유구의 번호를 나타냅니다. 유구의 약호(略號)는 각 출전(보고서)을 따랐습니다.
목간이 출토된 유적 지구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각 출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목간에 기재된 내용에 따른 분류입니다. 말미에 '?'가 붙어있는 것은 추정을 의미합니다.
목간에 기재된 지명은 池邊彌(이케베 와타루)의 『和名類聚抄郡郷里驛名考證(화명류취초군향리역명고증)』을 기준으로 최대한 수록하였습니다.
지명이 불확실하거나 여러 개일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전문(全文)을 '( )'로 묶고, 지명이 여러 개로 추정되나 그 중에서도 가능성이 높은 것은 '( )'로 묶지 않고 맨 앞에 두었습니다.
목간과 『和名類聚抄郡郷里驛名考證』의 지명이 다른 경우 『和名類聚抄郡郷里驛名考證』 의 지명, <목간시기의 지명> 순으로 하였습니다.
목간에 기록된 인명을 수록한 것입니다. 본문 그대로 기재하였으므로, 인명의 일부만 표기된 경우가 있습니다.
확실하지 않은 문자에는 '( )'를 붙이고, 인명이 추정일 경우는 '【 】'로 묶었습니다.
목간에 기록된 연호(年號)를 수록한 것입니다.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로 바꾸어 표기하였습니다.
목간에 기록된 날짜를 서력으로 수록한 것입니다.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로 바꾸어 표기하였습니다.
목간의 형태와 내용에 대한 설명입니다. 주로 출전난에 표시되어 있는 하기 정식보고서 "해설"에 따릅니다.
飛鳥藤原京1~2、藤原宮1~3、平城宮1~7、平城京1~3
검색한 목간에 대해 언급한 연구문헌목록을 표시합니다. 연구문헌에 관해 제목, 저자, 게재지, 권호, 출판년을 표시합니다.
게재지 등에 대해서는 초출을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하지만 단행본 등에 다시 수록됨으로 인해 재편·보정된 것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이 정보를 기재하고 장절 제목도 표시하였습니다.
이 경우 비고난에 "이미게재된 논문 2편을 보정" 혹은 "제○절만 이미 게재된 것이고 기타는 신고"와 같이 재편 내용을 적었습니다.
한편 다른 논문에 관한 데이터베이스(호세이대학 국제일본학연구소(오구치 마사시씨 편)"일본 고대사관계 연구문헌목록 데이터베이스」, 국립정보학연구소"CiNii")로의 링크도 걸어 상세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현단계로는 주로 목간학회편 『목간연구』에 게재되어 있는 논문 등을 수록할 따름이오나 다른 연구문헌에 대해서도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증보해 나갈 예정입니다.
본문 어구를 의미로 분류한 것입니다. 의미분류는 대중소 3개 계층으로 나누어집니다.
목간에 자주 쓰이는 용어에 대해서는 "목간히로바"관련용어집에 수록되어 있는 용어해설이나 칼럼으로 링크를 걸었습니다. 의미분류된 어구는 카테고리검색에 리스트와 같습니다.